석유화학 관련업종이라면
건설단계별 순서와 절차가 아래의 내용과 유사할 것입니다.
건설업 관련 초입자 혹은
화학공장에서 근무하며 EPC를 처음 하시는 분들께
조금은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먼저, MR(Material requisition), 즉 원하는 사양, 일정 등 정보를 담은 구매의뢰서를 작성하면
TBE, CBE 등을 거쳐 업체가 선정되며,
PO(Purchase order)가 발행되며 구매완료됨.
즉, vender가 선정되며 제품도 제작될 것임.
이 후부터는, 관점에 따라서 나눠서 기술하겠습니다.
계기적인 측면에서는 이후 아래의 순서로 업무가 진행됨.
FAT : factory acceptance test. 판넬 제작상태와 DCS,PLC 등의 로직구성 상태를 확인.
SAT : site acceptance test. 판넬 등을 건설현장에 설치완료한 이후에 상태점검. (panel visual, 정격, power up, setting완료 이후 loop check가능)
ISAT : internal SAT. 시스템 간의 통신작업.
LOOP CHECK/ FUNCTION TEST : 각각의 hardwire된 Tag point 들이 document와 같이 정확한 주소에 연결되어 있는지, 신호는 잘 주고받는지, 또한 구성하고자 한 방향대로 control이 이뤄지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
배관 측면에서는,
Hydrotest : 배관의 구간구간 마다 시공완료되면 hydrotest를 진행
Blowing : 그 line의 배관이 완전히 시공완료되면 hydrotest 등으로 인하여 남아있는 수분기 제거.
배관 및 계기 정상설치 : blowing이후 계기 등 정상설치
Flushing을 위한 가배관작업,계기철거
Flushing : 배관내의 이물질 제거 목적. 이물질에 의해 열교환기 등이 막힐수 있으므로 flushing 이전에 계기해체 및 열교환기 등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가배관 설치 작업이 동반되며, flushing완료 후 원상복구함.
Reintatement
Leak test : 배관의 계기등 모두 정상상태에서 실시.
참고로, Hydrotest, Flushing, Leak test의 경우
배관에 공급될 유체가 액체일 경우에는 물로 실시하며,
Gas가 공급될 경우에는 hydrotest를 제외하고는 gas(IA or N2)로 실시함.
전기 측면에서는
MCC panel power up
Motor Solo run test : 단순히 모터만의 running test.
등의 activity가 있을 것이고
기기장치의 측면에서는,
No load test : 펌프 등의 suction, discharge에 유체없이 무부하 상태에서 running test.
Performance test = Commissioning: 유체, 압력 등의 부하가 있는 조건에서 실제 기동test.
등의 activity를 실시합니다.
만약, 물 배관을 완전히 시공 완료했고,
실제 유체를 service해서 performance test와 함께 flushing을 하려 한다면,
(test 이후에 내부 유체를 그대로 두고 정상운전을 한다면,)
그 이전에 loop test, Solo run test 등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순서겠죠?
그럼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